반응형

교육 이야기/교육이론 20

[교육심리학] 인지주의 학습이론

1. 인지주의 학습이론의 개념 - 학습을 하는 동안 인간 내면에서 어떤 일이 일어나는지에 대해 설명 - 인간의 지각과정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시한 게슈탈트 심리학을 시작으로 이후 쾰러의 통찰학습과 톨만의 목적적 행동주의로 이어졌고, 정보처리이론에 이르러서는 보다 구체적으로 지각과 기억과정이 밝혀져 뇌과학과 신경과학 발전의 토대가 됨. - 학습을 통해 인지구조라는 체제가 만들어지고 이 인지구조는 학습을 통해 계속 변화 - 행동주의 학습과 다른 점 첫째, 행동주의 연구대상은 관찰 가능하고 측정가능한 외현적행동이나 인지주의의 연구대상은 인간의 두뇌에서 일어나는 정보 입력, 처리, 저장, 인출등의 내적 정보처리장치이다. 둘째, 행동주의에서 의미하는 학습은 외현적 행동의 변화이지만 인지주의에서의 학습은 내적 인..

[교육심리학] 행동주의 학습이론

1)행동주의 학습이론 개념 행동주의 심리학은 그 이전의 인간의 정신현상에 대한 연구를 비판하고, 관찰과 측정이 가능한 구체적 ‘행동’만을 대상으로 연구해 외적 자극과 반응의 관계로 인간을 이해하려는 입장으로, 파블로프, 왓슨(행동주의 학습이론 창시자), 손다이크, 스키너 등에 의해 발전되었다. 행동주의 학습이론은 행동주의 심리학에 바탕을 두고 학습을 외적자극과 반응간의 관계 속에서 이해한다. 즉, 학습은 자극(stimulus)과 반응(response)간의 연합으로 이루어진다는 것이다.(S-R이론) 2) 행동주의 학습이론의 기본 가정 첫째, 학습원리는 여러 행동과 여러 동물 종에도 똑같이 적용될 수 있어야 한다. 둘째, 학습과정은 자극과 반응을 연구할 때 가장 객관적인 연구가 된다. 셋째, 대체로 사고나 ..

[교육심리학] 창의성

1. 창의성의 개념 - 인간의 중요한 능력임에도 불구하고 지능과 비교하면 연구와 교육적 관심이 짧음 - 19세기 이전: 소수의 사람만이 선천적으로 가지고 있는 측정하기 어려운 능력 - 길포드 : 새롭고 신기한 것을 낳는 힘이라고 정의, 지능구조모형을 소개하며 확산적 사고를 창의성으로 인식 - 로저스(Rogers) : 하나의 새로운 결과를 나타내는 행동의 출현, 개인의 특성과 개인을 둘러싼 사건, 사람, 상황등에서 생성되는 과정, 이러한 과정을 찾는 동기가 자아실현 경향성이라고 말함. - 토랜스(Torrance) : 곤란한 문제를 인식하고, 그것을 해결하기 위해 아이디어를 내고 가설을 세워 검증하며 그 결과를 전달하는 과정 - 창의성의 중요한 요소: 새로움 & 적절성 - 새롭고 적절한 것을 생성해 낼 수 ..

[교육심리학] 지능검사

1. 지능의 측정 및 검사 점수의 의미 가. 비네-시몽 검사(1905) - 정상적인 학교교육을 받기 어려워 보수교육이 필요한 학생을 선발하기 위한 도구로 개발 - 정신연령의 개념을 사용하여 지능의 수준을 점수화 - 실제 나이보다 낮은 정신연령을 가지고 있다고 판명되는 아동은 낮은 지능을 가진것으로 추론 나. 스탠퍼드-비네 검사(1916) - 지능검사의 결과를 점수화 - 지능지수는 비율지능지수로 아동의 정신연령을 생활연령으로 나눈값에 100을 곱한 것 - 비율지능지수의 개념은 성인의 지능지수를 산출하는데 적합하지 않음. 다. 현대의 지능검사 - 편차지능지수의 개념 사용 - 편차지능지수: 지능검사에서 얻은 점수를 동년배의 점수와 상대적으로 비교하여 나타낸 IQ - 웩슬러 개인용 지능검사의 경우 IQ는 특정 ..

[교육심리학] 지능이론 (2)

[대안적 관점의 지능이론] 가. 가드너의 다중지능이론 - IQ처럼 단 하나의 수치로 개인의 지능을 모두 나타낼 수 없다고 주장, 개인은 아홉 개의 독립된 능력을 가지고 있음. 지능 정의 활용과제 언어지능 구어와 민어에 대한 민감성, 언어학습능력, 특정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언어활용 능력 수업주제에 대해 인터뷰하기 편지쓰기, 토론하기, 시 또는 뉴스기사 쓰기, 구호만들기, 발표하기 논리-수학 지능 문제를 논리적으로 분석하고, 수학적 조작을 수행하고 과학적인 방법으로 문제를 탐구하는 능력 법칙으로 바꿔보기, 실험계획실행하기, 전략게임만들기, 도식활용하여 설명하기, 삼단논법 구성하기 신체운동 지능 문제를 해결하거나 산물을 형성하기 위해 자신의 몸 전체 또는 손이나 입과 같은 신체 일부를 사용하는 능력 역할극..

[교육심리학] 지능이론 (1)

더보기 1. 지능의 본질 지능(intelligence)이란 인간의 지적 능력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심리학적 개념이다. 교사나 일반인들이 가지고 있는 지능의 개념은 학생에 대한 평가에 영향을 줄 수 있으며, 또한 그러한 지능검사의 측정값은 학생의 지적 특성을 이해하고 진단하는데 혹은 학교와 직업에서의 성공을 예언하는 데 중요한 지표로 활용되고 있다. 지능이란 학습자의 이러한 능력을 측정하는 것으로 가정되어 왔다. 그러나 이와 같은 능력의 본질과 내용 그리고 구조에 대한 논쟁은 지금도 계속되고 있다. 지능이 선천적인 특성인가 혹은 후천적인 학습의 결과인가. 지능은 단일요인으로 구성되어 있는가 아니면 여러 요인의 복합체인가 등의 논쟁은 다양한 지능의 정의가 존재하는 직접적인 원인이 되었다. 이처럼 지능이 무엇인..

[교육심리학] 호프먼 - 감정이입발달이론

도덕사회화 이론가의 대표적인 학자인 호프먼은 감정이입이 도덕적 행동을 이끈다고 보았다. 정서적 관점에서 이타성의 발달을 연구한 대표적 이론가인 호프먼은 이에 따라 감정이입 발달이론을 주장하였다. 1. 감정이입의 이해 - 감정이입이란? : 타인의 감정을 경험할 수 있는 능력, 타인의 생각과 감정 그리고 처지를 정확하게 이해하고 그 사람이 느끼는 것과 같거나 유사한 감정을 느끼며, 내가 그의 처지를 이해하고 있음을 표현하는 것이다. - 감정이입이 아닌 경우 첫째, 감정이입적 고통(Empathic disterss): 타인의 불편함에 대한 반응 둘째, 감정이입에 기반을 둔 죄책감(Empathy-based guilt): 다른 사람에게 해를 입히는 행위에 대한 자신의 감정반응 셋째, 동정적인 고통(Sympathet..

[교육심리학] 셀먼 - 사회적 조망수용 발달이론

도덕성의 발달은 도덕적 판단능력으로만 결정되는 것이 아니고 도덕적 정서, 감정이입, 타인의 조망을 수용하는 능력의 발달이 도덕적 행동을 동기화하는데 작용한다. (kurtines & Gewirtz, 2004) (1) 사회적 조망수용이란? - 사회적 상호작용이나 대인관계 안에서 타인의 입장, 관점, 감정을 추론하고 이해할 수 있는 능력 - 다른 말로는 역할수용능력이라고도 부를 수 있음. 역지사지(易地思之)의 마음자세 - 객관적 입장에서 타인의 능력, 특징, 기대, 감정, 동기 등을 정확하게 추론할 수 있는 능력 - 고정불변의 것이 아니라 격려와 지도에 의해 변화 가능 - '홀리의 딜레마' 를 통해 사회적 조망수용능력을 파악하여 단계 구분 (2) 사회적 조망수용능력의 발달단계 - 초기에는 자신의 관점과 타인의..

교육심리학 -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이론

- 피아제의 도덕성 발달이론에 영향을 받아 도덕적 추론 능력의 발달 이론을 더욱 체계적으로 연구 - 피아제의 도덕적 발달 이론 (3단계) : 전도덕성 단계 - 타율적 도덕성 단계 - 자율적 도덕성 단계 (1) 도덕성 발달 단계 가. 전인습적 수준 (pre-coventinal level) - 1단계 벌과 복종에 의한 도덕성 : 행동의 결과로 벌을 받는지의 여부와 행위를 강요한 사람이 누구인가를 선악 판단의 기준으로 삼음. - 2단계 욕구 충족 수단으로서의 도덕성 : 자신 혹은 타인의 필요나 욕구를 충족시켜 주는 행위를 옳다고 판단, 어떤 행위의 결과로 보상을 받기를 원하며 욕구의 충족에서 오는 즐거움을 원하고 유지하고 싶어하는 도덕적 쾌락주의의 관점을 가지고 있음. 나. 인습적 수준 (conventiona..

교육심리학 - 에릭슨의 심리사회적 성격발달이론

(1) 기본개념 가. 자아: 성격의 핵심구조, 자아가 기능함으로써 인간은 사회적 맥락 안에서 주요한 타인과 관계를 맺고 상호작용을 함. 이러한 사회적 관계와 상호작용 안에서 개인의 성격과 사회성이 발달 나. 자아정체감(ego identity) - '나는 누구인가?', '내 삶은 무엇을 향해 가고 있는가?', '나는 앞으로 어떻게 될 것인가?'에 대한 질문과 이런한 질문에 대한 고뇌를 통해 형성되는 심리적 상태 - 개별성, 계속성, 총체성으로 자아정체감 형성 다. 위기 - 심리사회적 위기(psychosocial crisis): 발달의 기회를 제공하는 심리사회적 도전 - 긍정적대안, 부정적 대안으로 구성, 위기를 어떻게 극복하는가에 따라 발달은 다른 양상을 보임 (2) 심리사회적 성격발달 단계 - 8단계로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