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지능의 측정 및 검사 점수의 의미
가. 비네-시몽 검사(1905)
- 정상적인 학교교육을 받기 어려워 보수교육이 필요한 학생을 선발하기 위한 도구로 개발
- 정신연령의 개념을 사용하여 지능의 수준을 점수화
- 실제 나이보다 낮은 정신연령을 가지고 있다고 판명되는 아동은 낮은 지능을 가진것으로 추론
나. 스탠퍼드-비네 검사(1916)
- 지능검사의 결과를 점수화
- 지능지수는 비율지능지수로 아동의 정신연령을 생활연령으로 나눈값에 100을 곱한 것
- 비율지능지수의 개념은 성인의 지능지수를 산출하는데 적합하지 않음.
다. 현대의 지능검사
- 편차지능지수의 개념 사용
- 편차지능지수: 지능검사에서 얻은 점수를 동년배의 점수와 상대적으로 비교하여 나타낸 IQ
- 웩슬러 개인용 지능검사의 경우 IQ는 특정 연령 집단의 점수분포를 평균이 100, 표준편차가 15가 되도록 변환시킨 후 분포에서 개인의 점수가 어느 위치에 해당하는가를 나타냄
-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개인용 지능검사: 웩슬러 지능검사, 카우프만 지능검사
2. 지능검사의 교육적 활용과 한계
가. 교육적 활용
- 개인의 지적능력 수준을 평가
- 개인의 인지적 강점과 약점, 지적 기능의 특징을 파악
- 교육 및 진로지도, 생활지도 및 상담 등에 활용
나. 지능검사의 한계
- 개인의 절대적 지적 수준이 아니라 상대적 지적수준을 나타내는 개념
- 지적 잠재력이 아닌 학업성적이나 학업능력을 측정하고 있다는 지적이 있음
- 지능검사의 결과는 학습동기, 불안, 태도 사회경제적 지위 등과 같은 변수이 영향을 받을 수 있음.
'교육 이야기 > 교육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교육심리학] 행동주의 학습이론 (0) | 2020.12.09 |
---|---|
[교육심리학] 창의성 (0) | 2020.12.09 |
[교육심리학] 지능이론 (2) (0) | 2020.12.08 |
[교육심리학] 지능이론 (1) (2) | 2020.12.08 |
[교육심리학] 호프먼 - 감정이입발달이론 (0) | 2020.12.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