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 이야기/교육이론

[교육심리학] 지능검사

아오시마군 2020. 12. 8. 22:57
반응형

1. 지능의 측정 및 검사 점수의 의미

  가. 비네-시몽 검사(1905) 

    - 정상적인 학교교육을 받기 어려워 보수교육이 필요한 학생을 선발하기 위한 도구로 개발

    - 정신연령의 개념을 사용하여 지능의 수준을 점수화

    - 실제 나이보다 낮은 정신연령을 가지고 있다고 판명되는 아동은 낮은 지능을 가진것으로 추론

  나. 스탠퍼드-비네 검사(1916)

    - 지능검사의 결과를 점수화 

    - 지능지수는 비율지능지수로 아동의 정신연령을 생활연령으로 나눈값에 100을 곱한 것

    - 비율지능지수의 개념은 성인의 지능지수를 산출하는데 적합하지 않음.

  다. 현대의 지능검사

    - 편차지능지수의 개념 사용

    - 편차지능지수: 지능검사에서 얻은 점수를 동년배의 점수와 상대적으로 비교하여 나타낸 IQ

    - 웩슬러 개인용 지능검사의 경우 IQ는 특정 연령 집단의 점수분포를 평균이 100, 표준편차가 15가 되도록 변환시킨 후 분포에서 개인의 점수가 어느 위치에 해당하는가를 나타냄 

    -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개인용 지능검사: 웩슬러 지능검사, 카우프만 지능검사

편차지능지수의 분포

 

2. 지능검사의 교육적 활용과 한계

 가. 교육적 활용

    - 개인의 지적능력 수준을 평가

    - 개인의 인지적 강점과 약점, 지적 기능의 특징을 파악

    - 교육 및 진로지도, 생활지도 및 상담 등에 활용

 나. 지능검사의 한계

    - 개인의 절대적 지적 수준이 아니라 상대적 지적수준을 나타내는 개념

    - 지적 잠재력이 아닌 학업성적이나 학업능력을 측정하고 있다는 지적이 있음

    - 지능검사의 결과는 학습동기, 불안, 태도 사회경제적 지위 등과 같은 변수이 영향을 받을 수 있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