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교육 이야기 92

[교육정책이야기] 학교환경교육 활성화 지원

* 주요내용 - 기후변화 위기 등 환경문제에 대한 심각성과 대응의 시급성으로 인한 실천적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학교 환경교육 지원강화 1. 교육부 추진계획 및 내용 가. 사업방향 - 학교 교육과정 내외적인 운영을 통한 환경교육 활성화 지원 나. 주요 내용 - 미래사회 교육 수요 반영: 환경교육 내용에서 탄소중립, 기후환경위기, 미세먼지, 미세플라스틱 등 미래세대 교육수요를 반영한 교육내용 강화 - 실천적 프로그램 개발 및 보급: 학교교육과정 운영 지원을 위한 환경교육 컨텐츠 제작, 보급 및 관계 부처 교육청 개발 교수, 학습자료 공유 - 지원체계 구축: 시도교육청별 환경교육 추진 현황의 공유, 우수사례사업 발구, 부처 간 협업 을 통한 환경교육 확산 및 제도 정비 개선 2. 교육청 주요업무계획 반영내용 ..

[교육정책계획써보기] 학교 평화통일교육 계획

https://yuka96.tistory.com/218 [교육정책이야기] 학교 평화 통일교육 활성화 * 주요내용 - 온-오프 연계 권역별 포럼, 주제탐구형 프로그램 등으로 교원 전문성 제고 - 정책리더 역량강화, 유관기관 정책 협의회 등 평화통일교육 추진체계 마련으로 한반도 평화와 통일에 yuka96.tistory.com 학교 평화통일교육 운영계획 Ⅰ. 추진근거 ○ 통일교육 지원법 제3조 제1항 및 제8조 제1항 ○ 전라북도교육청 평화통일교육 활성화 지원 조례 ○ 2023 전라북도교육청 주요업무계획 6-2-4 평화공존교육 활성화 Ⅱ. 추진배경 ○ 한반도를 넘어 평화 위기, 사회적 갈등 등 세계 공동 문제에 대응할 수 있는 상호존중 기반 평화와 공존을 지향하는 평화통일교육 필요 ○ 통일의 필요성을 주입하는..

[교육정책이야기] 학교 평화 통일교육 활성화

* 주요내용 - 온-오프 연계 권역별 포럼, 주제탐구형 프로그램 등으로 교원 전문성 제고 - 정책리더 역량강화, 유관기관 정책 협의회 등 평화통일교육 추진체계 마련으로 한반도 평화와 통일에 대한 성찰과 평화감수성을 갖춘 시민 양성 1. 교육부 추진 내용 가. 교육과정 내실화 - 다양한 교과수업, 창의적 체험활동에서 평화통일교육 실시, 주제 중심 평화감수성을 키우는 교육컨텐츠 개발, 통통 평화학교를 개편하여 활용도, 접근성을 높인 온라인 플랫폼 기반 마련 나. 교원 전문성 강화 - 온오프를 연계하여 권역별 포럼, 주제탐구형 핵심교원 워크숍 운영으로 교원 평화통일 역량 강화 다. 평화, 통일 공감대 확산 - 역사, 인권, 평화로 확장된 지역 기반 현장 체험 인프라 마련, 온라인 토론회 등 시도교육청별 참여 ..

[교육정책계획써보기] 인성교육 계획

https://yuka96.tistory.com/216 [교육정책이야기] 인성교육의 내실화 * 주요 내용 - 학교 교육과정 속 인성교육의 안착 - 학교 인성교육의 가정, 지역사회와의 연계강화 1. 교육부 추진계획 및 내용 가. 기본방향: 인성중심 학교교육 내실화에 집중하고 현장부담을 yuka96.tistory.com 인성교육 시행 계획 Ⅰ. 추진근거 ○ 인성교육진흥법 제6조, 인성교육진흥법 시행령 제3조 ○ 전라북도교육청 인성교육활성화 조례 제4조 ○ 전라북도교육청 학교언어순화운동 권장에 따른 조례 제4조 Ⅱ. 추진배경 ○ 상호연결성이 커지고 정보량이 급증하는 미래 사회에서는 서로를 존중, 배려하면서 소통하는 인성 덕복, 인성 함양이 필요함 ○ 편견과 차별, 기후변화 등 새로운 사회문제 해결을 위해 타인..

[교육정책이야기] 인성교육의 내실화

* 주요 내용 - 학교 교육과정 속 인성교육의 안착 - 학교 인성교육의 가정, 지역사회와의 연계강화 1. 교육부 추진계획 및 내용 가. 기본방향: 인성중심 학교교육 내실화에 집중하고 현장부담을 최소화 나. 주요내용: 제2차 인성교육 종합계횏(21-25)에 따라 민주시민교육 등과 연계된 인성교육 시행계획 수립 및 추진 2. 교육청 주요업무계획에 포함되어야 할 사항 가. 주요내용 - 각 시도교육청의 교육정책 방향과 연계한 자체 인성교육 시행계획 수립, 시행 - 관찰 학교가 교과, 창의적 체험활동 등을 이용하여 정규교육과정 중심으로 인성교육을 내실있게 운영할 수 있도록 시도 교육과정 편성지침, 장학 계획 등에 인성교육 요소를 반영할 것을 권장 - 관내 교원이 인성교육 관련 연수를 받을 수 있도록 다양한 연수과..

[교육정책계획써보기] 독서 인문 토론 글쓰기 교육 계획

https://yuka96.tistory.com/214 [교육정책이야기] 독서인문 및 글쓰기 교육 활성화 * 주요내용 - 학교 교육과정 연계 독서인문교육 및 학교도서관 활성화를 통한 창의융합형 인재와 민주시민 양성 1. 교육부 추진계획 및 내용 가. 학교도서관 - 제3차 학교도서관진흥기본계획(19~23 yuka96.tistory.com 독서, 인문, 토론, 글쓰기 교육 기본계획 Ⅰ. 추진근거 ○ 인문학 및 인문정신문화의 진흥에 관한 법률(제15957호) ○ 독서문화진흥법(법률 제18764호) ○ 전라북도 학교독서교육 조례(제4205호) ○ 2023 주요업무계획 (2-1-5 독서, 인문교육 강화 및 시스템 구축) Ⅱ. 추진배경 ○ 미래 사회의 핵심 역량인 의사소통 능력과 창의융합적 사고력을 키울 수 있는 ..

[교육정책이야기] 독서인문 및 글쓰기 교육 활성화

* 주요내용 - 학교 교육과정 연계 독서인문교육 및 학교도서관 활성화를 통한 창의융합형 인재와 민주시민 양성 1. 교육부 추진계획 및 내용 가. 학교도서관 - 제3차 학교도서관진흥기본계획(19~23)에 따라 학교도서관 활성화를 위한 환경조성 - 학교도서관 공간 혁신 우수사례 확산, 학교도서관 대내외 거버넌스 구축을 위한 관계부처 협력 및 정책 추진 관련 학교 현장 의견 수렴 - 온라인 기반 학교도서관 관리, 독서인문교육 지원을 위한 독서교육종합시스템 ISP 수립 및 독서교육종합지원시스템(1단계) 개발 착수 나. 독서인문교육 - 인문학 진흥 기본계획(17-21) 및 인공지능시대 교육정책방향과 핵심과제(20.11) 수립 - 생애주기별 체계적, 연속적 인문교육을 위한 초, 중등 인문교육 지원 체제 구축 - 다..

[정책계획써보기] 학교미디어교육 활성화 계획

https://yuka96.tistory.com/212 [교육정책이야기] 학교미디어교육 내실화 * 주요내용 - 미디어 환경 변화에 대응하여 지능정보사회이 시민에게 필요한 능동적, 창의적인 미디어 역량을 강화하는 학교미디어 교육 내실화 주요업무사항에 반영해야 할 사항 1. 반영내용: yuka96.tistory.com 학교 미디어교육(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활성화 계획 Ⅰ. 추진근거 및 배경 1. 추진근거 ■ 전라북도 학교민주시민교육 조례 ■ 전라북도교육청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지원에 관한 조례 ■ 학교 미디어 교육 내실화 지원 계획 ■ 디지털 기반의 원격교육 활성화 기봅법 제10조 제1항 ■ 2023 교육부 특별교부금 국가시책 사업 지원 계획 2. 추진배경 ○ 학습환경의 원격수업 및 디지털 전환에 따른 2..

[교육정책이야기] 학교미디어교육 내실화

* 주요내용 - 미디어 환경 변화에 대응하여 지능정보사회이 시민에게 필요한 능동적, 창의적인 미디어 역량을 강화하는 학교미디어 교육 내실화 주요업무사항에 반영해야 할 사항 1. 반영내용: 학교미디어교육 활성화를 위한 학생참여, 교원 역량 강화, 지역 자원 연계 방안 가. 학생참여 활성화 - 사회 쟁점 및 정책에 대해 미디어로 의견을 표현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등 학생의 사회참여 학습 및 미디어 제작, 체험 확대 나. 교원역량 강화 - 미디어 교육관련 교원 연수 프로그램 운영 및 교수, 학습자료 안내, 교원 학습공동체 지원 방안 마련 다. 지역 자원 연계 - 지역 미디어센터, 도서관, 언론사 등 지역 자원을 활용한 학교미디어 교육 지원 방안 마련

[교육정책써보기] 학교민주시민교육 활성화 계획

학교민주시민교육 활성화 계획 Ⅰ. 추진배경 가. 급변하는 사회환경에 대한 대응을 통해 문제해결능력과 창의성향상 필요 나. 모두가 평등하게 참여할 수 있는 사회체제에 대한 인식과 민주주의에 대한 의미 제고 다. 현대사회에서 부족한 참여와 책임감을 키우고, 지역사회와 함께 상호작용하는 문화 실현 Ⅱ 추진근거 가. 교육기본법 제2조 나. 전라북도 학교민주시민교육 조례 제4712호 3조 다. 초중등교육과정 총론(교육부 고시 제2015-80호) Ⅲ. 추진목적 가. 참여와 소통의 민주적 학교문화 조성을 통한 학교민주주의 실현 나. 학교교육과정과 연계한 민주시민교육 활성화 다. 주체적이고 공공적인 주권자 시민 성장 지운 라. 평화, 생태, 인권, 문화 감수성을 지닌 민주시민 육성 마. 지역사회와 함께하는 민주시민교육..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