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 이야기/교육이론

[진로교육개론-김봉환] 3장 자기이해(1)

아오시마군 2021. 11. 12. 11:56
반응형

3장 자기이해

 1. 자기 이해의 개념

  - 자기이해란? 자신의 가치, 신념, 태도 등에 대한 이해를 넘어서 이것이 자신의 행동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대해 아는 것

  - 자신의 태도, 능력, 흥미, 포부, 자원의 한계와 원인 등 자신에 대한 명확한 이해로써 직업선택의 접근방식에서 첫번째 단계(파슨스)

  - 상담자는 개인이 자기이해활동을 통해 진로계획과 의사결정을 촉진하고 궁극적으로 자기실현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2. 자기 이해의 영역

  (1) 적성

    - 특수분야에 대한 능력의 정도나 그 능력의 발현 가능성

    - 어떤 직업에서의 성공가능성을 예견해 주는 요인

    - 타고난 능력이나 소질이라고 알려진바와 같이 유전적인 성향이 강하지만, 학습 경험이나 훈련을 통해 계발될 수 있으므로 다양한 학습경험을 해보는 것이 좋음. 또한 청소년기 전기 이후에는 크게 변화가 없으므로 조기에 계발해야 함.

  (2) 흥미

     - 어떤 종류의 활동 또는 사물에 대하여 특별한 관심이나 주의를 갖게하는 개인의 일반화된 행동 경향

     - 개인이 자신에게 잠재적으로 가치 있다고 생각하는 것에 주의를 기울이고 그것을 향해서 나아가려는 정서적 특성

     - 성장함에 따라 발전하고 변화함

     - 구체적, 수동적, 단편적, 비항상적에서 추상적, 능동적, 체계적이고 종합적, 항상적으로 변화

     - 직업흥미는 능력, 성격, 행동을 포함하는 지표로 여김

  (3) 성격

     - 환경에 대해서 독특한 적응을 결정하는 개인의 특성, 기질, 지능, 그리고 신체적인 것의 통합된 체제(이재창, 2005)

     - 개인의 욕구, 자아개념, 성취동기, 포부 수준, 대인관계등이 포함

     - BIG 5 성격 : 개방성, 성실성, 외향성, 친화성, 신경증

  (4) 가치관

     - 개인이 특정 상황에서 선택을 하거나 결정을 내려야 할 때, 어떤 특정한 방향으로 행동하게 하는 원리나 믿음 또는 신념

     - 단시간내 형성 불가능, 어린 시절부터 개인이 접하는 환경과 접촉하는 사람들에 의하여 형성

     - 내재적 가치와 외재적 가치로 구분

     - 가치관의 탐색과 명료화는 현명한 진로결정의 시작, 진로발달에서 고려해야 할 것은 직업, 즉 일에 대한 가치관이며, 이는 일반적인 가치관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