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장 자기이해
1. 자기 이해의 개념
- 자기이해란? 자신의 가치, 신념, 태도 등에 대한 이해를 넘어서 이것이 자신의 행동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대해 아는 것
- 자신의 태도, 능력, 흥미, 포부, 자원의 한계와 원인 등 자신에 대한 명확한 이해로써 직업선택의 접근방식에서 첫번째 단계(파슨스)
- 상담자는 개인이 자기이해활동을 통해 진로계획과 의사결정을 촉진하고 궁극적으로 자기실현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2. 자기 이해의 영역
(1) 적성
- 특수분야에 대한 능력의 정도나 그 능력의 발현 가능성
- 어떤 직업에서의 성공가능성을 예견해 주는 요인
- 타고난 능력이나 소질이라고 알려진바와 같이 유전적인 성향이 강하지만, 학습 경험이나 훈련을 통해 계발될 수 있으므로 다양한 학습경험을 해보는 것이 좋음. 또한 청소년기 전기 이후에는 크게 변화가 없으므로 조기에 계발해야 함.
(2) 흥미
- 어떤 종류의 활동 또는 사물에 대하여 특별한 관심이나 주의를 갖게하는 개인의 일반화된 행동 경향
- 개인이 자신에게 잠재적으로 가치 있다고 생각하는 것에 주의를 기울이고 그것을 향해서 나아가려는 정서적 특성
- 성장함에 따라 발전하고 변화함
- 구체적, 수동적, 단편적, 비항상적에서 추상적, 능동적, 체계적이고 종합적, 항상적으로 변화
- 직업흥미는 능력, 성격, 행동을 포함하는 지표로 여김
(3) 성격
- 환경에 대해서 독특한 적응을 결정하는 개인의 특성, 기질, 지능, 그리고 신체적인 것의 통합된 체제(이재창, 2005)
- 개인의 욕구, 자아개념, 성취동기, 포부 수준, 대인관계등이 포함
- BIG 5 성격 : 개방성, 성실성, 외향성, 친화성, 신경증
(4) 가치관
- 개인이 특정 상황에서 선택을 하거나 결정을 내려야 할 때, 어떤 특정한 방향으로 행동하게 하는 원리나 믿음 또는 신념
- 단시간내 형성 불가능, 어린 시절부터 개인이 접하는 환경과 접촉하는 사람들에 의하여 형성
- 내재적 가치와 외재적 가치로 구분
- 가치관의 탐색과 명료화는 현명한 진로결정의 시작, 진로발달에서 고려해야 할 것은 직업, 즉 일에 대한 가치관이며, 이는 일반적인 가치관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음.
'교육 이야기 > 교육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교육학 요점정리] 교육과정 - 타일러의 교육과정 개발 모형 (0) | 2021.11.26 |
---|---|
[진로교육개론-김봉환] 2장 진로교육의 목표 (0) | 2021.10.28 |
[진로교육개론-김봉환] 진로교육의 개요 (0) | 2021.10.18 |
[교육심리학] 동기이론 (0) | 2020.12.09 |
[교육심리학] 학급운영 (0) | 2020.1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