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 이야기/교육전문직-정책이야기

[정책기획] 기초학력 리터러시 역량 강화 학교 모델 구축

아오시마군 2025. 4. 21. 21:48
반응형

1. 추진배경

 - 기초학력 보장법 및 같은 법 시행령에 따라 교육감은 지역 실정에 맞는 기초학력 보장계획을 수립

 - 전라북도교육청 기초학력 보장을 위한 교육환경 지원 조례(제5387호)에 근거한 지역 특성 반영한 실효성있는 정책 설계 필요

 - 교육부 '기초학력 보장 종합계획(2022)' 및 '공교육 경쟁력 제고방안(2023)'에서 기초학력 진단, 지원 체계 강화 요구

 - 전북특별자치도는 농산어촌 및 소규모 학교의 비중이 높아 학습결손 누적, 지역 간 학력격차, 학습지원 자원 편차 등의 구조적 문제가 발생

2. 추진 목적

 - 학교중심의 기초학력 맞춤형 운영체계 구축을 통한 교육현장의 실행력 제고

 - 전이학년군(초등 3, 4학년, 중등 1,2학년)을 중심으로 한 책임교육 구조 확대 및 학습결손 사전 예방

 - 학생 주도 학습회복 체계 마련을 통한 자기 주도 학습 역량 및 학습 동기 강화

 - 기초학력 정책 간 연계 및 통합을 통해 정책 효율성과 행정 집중도 제고

3. 추진 방침

 - 기초학력 관련 기존 정책을 '기초학력 통합학교' 운영 체계로 개편

 - 학교 단위 자율 운영 계획을 기반으로 선택형 지원 패키지 제공

 - 전이학년군 중심의 학습성장 관리체계 구축 및 책임교사제 도입

 - 학생의 진단 결과 및 학습 이력을 기반으로 한 성장 포트폴리오 시스템 운영

 - 교육지원청 중심의 학습컨설팅 및 수업코칭 체계 마련을 통한 정책 실행력 강화

4. 세부 운영 게획

 (1) 기초 학력 통합학교(Litera-Hub) 운영 체계 전환

  - 기존 기초학력 정책을 학교 중심 '기초학력 통합학교'로 통합 운영

  - 학교 자율 운영계획 수립 - 선택형 예산 패키지 지원

  - 학교별 상황에 맞는 협력 수업형, 튜터형, 정서지원형 등으로 다양화하여 제공

  - 학교 운영팀 구성(교감, 부장교사, 학년 대표 등) : 운영전담

 (2) 전이학년군 중심 책임교육 확대

  - 초3, 4학년 및 중1, 2학년 전이학년군으로 지정을 통한 책임교육 강화

  - 전이학년군별 책임교사 지정을 통한 진단, 보정, 상담의 전담화

  - 학기별 성취 곡선 관리 체계 구축을 통한 성장이력 관리

  - 교과 협의화를 연계한 기초학력 도달 이정표와 성취 기준 마련

 (3) 학생 주도형 학습회복 포트폴리오 시스템 운영

   - 학습성장 포트폴리오 시스템 운영: 온라인, 오프라인 병행

  - 학생 스스로 진단 결과 해석, 목표설정 등을 통한 자기 성찰 주도

  - 교사 피드백, 격려 메시지 등 정기 기록을 통한 정서적 동기의 강화

  - 분기별 학습회복 워크숍 운영을 통한 목표 점검 및 재설정

 (4) 교육지원청 중심 수업 및 정책 통합 컨설팅 체계 구축

  - 교육지원청 단위 '기초 학력 컨설팅팀' 구성

  - 구성: 장학사 , 수업지원단, 학력지원센터 연계 구성원

  - 운영: 연 2회 이상 학교 방문형 진단, 피드백 컨설팅 실시

  - 실행력 중심 컨설팅 운영을 통한 교사 , 관리자, 행정 공동 참여

  - 우수 운영 학교 성과 사례 공유

 

5.  기대 효과

  - 학교 단위 실행 구조 정착을 통한 현장 자율성 및 실행력 제고

  - 학년군 책임체계 구축을 통한 학습결손 누적 예방

  - 학생주도 포트폴리오 시스템 운영을 통한 자기주도 학습력 향상

  - 기초학력 보장 실효성 확보를 통한 공교육 신뢰 회복 기반 마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