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 이야기/교육전문직-정책이야기

[2023] 미래학교 추진 계획(1)

아오시마군 2023. 4. 20. 21:36
반응형

1. 추진 배경 및 목적

 (1) 추진 배경

  - 급변하는 미래 사회 교육 패러다임의 전환 및 미래역량 강조

   - 새로운 교육환경 변화에 맞는 학생 맞춤형 교육에의 요구

   - 미래사회를 준비하는 AI, 디지털 기반 교육환경 조성 필요

   - 2022 개정 교육과정 주요 내용을 반영한 교육과정 자율성 확대

(2) 추진 목적

   - 기초, 기본학력 기반의 미래역량 함양

   - 학생 맞춤형 교육을 지원하는 수업혁신

   - 학생중심 교육과정과 교육방법의 다양화

   - 학교와 지역의 연계, 협력 확대로 학교의 공공성 강화

   - 모든 학생의 행복한 삶을 보장하는 미래교육 내실화

(3) 추진 근거

   - 2023 ****교육청 주요업무계획

   - 초, 중등교육법 제4장 제23조(교육과정 등)

   - 2022 개정 초, 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교육부 고시 제2022-33호)

 

2. 추진개요

 (1) 추진방침

   - 기초, 기본학력 신장과 미래역량 함양을 위한 교사의 수업역량 강화

   - 학교 실태와 교육주체의 요구를 반영한 창의적인 교육과정 운영

   - 학교와 지역의 연계 협력 확대

   - 주체별 네트워크 활성화로 운영 내실화 도모

   - 미래 변화 대응을 위한 미래교육 기반 구축

   - 혁신학교 성과를 바탕으로 미래학교로의 전환

*  혁신학교, 학교혁신: 학교의 교육적 본질 회복, 학교문화 개선, 모든 학교 학습공동체구축

* 혁신교육 : 혁신학교의 질적 도약, 지속가능한 혁신교육의 토대 구축

* 미래학교: 학생중심 미래교육 실현, 미래역량을 갖춘 세계시민 육성

 

3. 추진과제

 (1) 중점과제

 미래역량을 갖춘 세계 시민: 기초, 기본학력 기반의 미래역량 강화, 학습공동체를 통한 교육과정-수업-평가의 질적 개선, 모두의 성장을 지원하는 미래교육환경 구축

(2) 중점과제 실행을 위한 기관별 세부과제

 * 과제1 기초, 기본학력기반의 미래역량 함양

   - 도교육청: 기초학력 3단계 안전망 구축, 기초학력 보장을 위한 책임시스템 구축 및 학력지원센터 운영, 모든 학생이 성장을 돕는 평가체제 강화, 맞춤형 학업성취도 자율평가 운영

   - 직속 기관 및 지원청: 지역 사회 연계 학습망, 안전망 확대, 지역별 학력지원센터 중심의 촘촘한 지원, 문해력, 수해력 관련 교원 연수

   - 학교: 기초학력다중지원팀, 교과보충 프로그램 지원, 학생성장이력 지속관리, 독서, 토론 글쓰기 교육 등 문해력 향상 지도, 학생중심 다양한 교육과정 운영, 교과성적 향상 지원을 위한 보충 프로그램 운영(중고)

* 과제 1 추진의 필요성

   - 학생들의 기초, 기본 학력 보장

   - 단위학교 학생중심 교육과정 운영으로 학생 맞춤형 교육

   - 학생의 주체적, 주도적인 학습 과정 참여

   - 다문화학생 지원강화

   - 독서, 인문환경강화, 생태전환교육, 세계시민교육 등 미래역량 함양을 위한 교육과정 운영

 

* 과제2 학습공동체를 통화 교육과정- 수업- 평가 질적 개선

   - 도교육청: 학습공동체 활성화 지원, 현장지원단 조직, 운영, 학생 주도창의, 융합수업 지원, 탐구하고 실천하는 학생참여형 수업, 미래형 교육과정 개발, 적용, 일반화, 교사 수업 전문성 신장 지원방안 마련, 수업역량강화를 위한 교사지원 플랫폼 운영

   - 직속기관 및 지원청: 지역단위 네트워크 운영, 교원 학습공동체 운영 지원, 현장지원단 활용학교 지원, 미래형 교육과정 개발, 활용 연수, 교과별 교사 역량강화 연수 운영, 교사 수업 전문성 신장 지원(생애주기별 연수 등), 수업역량강화를 위한 지원

   - 학교: 전문적 학습공동체의 날 운영, 수업나눔 활성화, 교육과정 세움주간 운영, 현장지원단 활용컨설팅 실시, 미래형 교육과정 개발, 적용, 디지털 리터러시 및 활용 등 문해력 분야 교원 역량 강화, 학생 주도 창의, 융합 수업 실시, 역량강화 연수 참여, 교사 지원 플랫폼 활용 수업역량 강화

* 과제2 추진의 필요성

- 학생의 특기, 적성, 진로, 학습 속도에 따른 맞춤형 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질적 개선

- 교육과정 운영의 내실화, 학생의 능동적 참여를 끌어내는 수업 혁신, 학생의 성장과 발달을 돕는 평가, 학생의 다양성을 담는 기록의 내실화

- 학습공동체 중심의 수업공개 활성화로 교사의 수업 역량 함양

- 학생 선택 중심의 교육과정, 학생참여 중심의 수업확대

- 교원의 학습공동체 활동으로 교육과정-수업-평가 일체화 역량 함양

 

* 과제 3 모두의 성장을 지원하는 미래교육환경 구축

 - 도교육청: 지역교육과정과 학교교육과정 자율성 확대 방안 마련, 상생과 공존의 학교문화 조성을 위한 부서간 유기적 협력체제 구축, AI, 데이터 기반 학생 맞춤형 학습 지원 강화, 미래형 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공간혁신

- 직속기관 및 지원청: 지역 특성에 맞는 미래형 교육과정 운영 지원, 상새과 고존의 학교문화 조성 지원, 지자체와 혀렵 강호 및 지역교육 공동체 구축, 스마트기기 활용 교원 연수, 다양한 공간혁신 지원 및 사례 연수

- 학교: 학습 생태계로서의 학교문화 구축, 지역교육과이 연계를 통한 학생 성장 지원, 일반고-대학 연계 공동교육과정 운영, 학교구성원의 요구와 필요를 반영한 공간 설계

* 과제3 추진의 필요성

 - 협력적 학교문화, 물리적 교육환경, 학교와 지역의 연계, 다양한 주체 간 네트워크 등 융합적인 교육환경 구축

- 4차 산업혁명과 디지털 대전환 등 변화의 가속화에 따른 디지털 ai, 기반 교육환경 구축

- 학생참여 수업과 융합형 활동 및 온라인 수업 수강, 모둠수업, 토의토론 등 미래형 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가변형 학습공간 축

- 학생, 교원, 학부모 등 학교 구성원 모두의 성장을 지원하는 미래교육환경 구축

 - 학생이 온전한 성장 발달을 위해 지역사회와 함께 지속가능한 교육생태계 구축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