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덕성의 발달은 도덕적 판단능력으로만 결정되는 것이 아니고 도덕적 정서, 감정이입, 타인의 조망을 수용하는 능력의 발달이 도덕적 행동을 동기화하는데 작용한다. (kurtines & Gewirtz, 2004) (1) 사회적 조망수용이란? - 사회적 상호작용이나 대인관계 안에서 타인의 입장, 관점, 감정을 추론하고 이해할 수 있는 능력 - 다른 말로는 역할수용능력이라고도 부를 수 있음. 역지사지(易地思之)의 마음자세 - 객관적 입장에서 타인의 능력, 특징, 기대, 감정, 동기 등을 정확하게 추론할 수 있는 능력 - 고정불변의 것이 아니라 격려와 지도에 의해 변화 가능 - '홀리의 딜레마' 를 통해 사회적 조망수용능력을 파악하여 단계 구분 (2) 사회적 조망수용능력의 발달단계 - 초기에는 자신의 관점과 타인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