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답주의의 포로가 되어 있는 교사와 아이들 앞서서 말한바와 같이 자기 나름의 생각은 아이들의 사고를 확장시켜주는 역할을 한다고 하였다. 그러한 자기 나름의 사고를 발현시키고자 하는 것을 억누르는 것중의 하나가 정답주의이다. 특히 교사 머리속에 있는 정답!!! 교사 머릿속에 있는 정답이란 오직 하나로 한정되어 있어 그것을 아이들이 찾기란 쉬운일이 아니다. 융통성이란 없는 교사의 딱딱한 정답주의는 한 번 틀렸다고 말하는 교사의 지적에 사고하고 싶은 생각이 없어지게 만드는 계기가 된다. 이러한 정답주의로 부터 해방되기 위해서는 1. 교사는 머릿속에 있는 생각, 곧 정답이라고 생각하고 있는 것을 아이가 응답해주기를 바라는 생각을 버려야 한다. - 아이는 각자 자신의 최선을 다하여 마련한 생각(자기 나름의 생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