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서론 2010년 이후 전라북도 관내 통폐합 학교의 수는 14개 학교에 이르고 있으며 이는 점차 늘어가고 있는 추세이다. 60명미만의 소규모 학교는 2022년 4월 기준 167개이며 초등학교가 112개로 가장 많은 숫자를 차지하고 있다. 지역사회의 인구 유출과 저출산의 영향으로 인해 소규모 초등학교의 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소규모 학교는 교육환경에 대한 제한적인 한계, 교사 배치의 어려움에 대한 인적 자원의 한계, 소규모의 학생수로 인한 교육프로그램 운영에 대한 한계 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런 교육적, 사회적 문제를 가진 소규모 학교는 상당수의 학생 유입이 있지 않는 한 폐교의 상황으로 진행 될 수 밖에 없다. 소규모 학교의 폐교는 단순히 지역 학교의 소멸이 아니라 지역사회의 소멸 위..